내용
식품(축산물포함), 건강기능식품, 식품첨가물, 기구 또는 용기나 포장을 제조·가공하거나, 즉석판매 제조· 가공업, 주문자 상표부착 식품등을 수입·판매하는 영업자는 생산 제품에 대한 정기적으로 기준 및 규격에 적합한지를 검사하여야 하며, 자가검사시설이 없거나, 직접검사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식품위생검사기관인 우리 연구원에 의뢰하면 검사결과를 자가품질관리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.
관련법규 등
- 식품위생법 제31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31조(자가품질검사의 의무)
-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21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25조(자가품질검사의 의무)
- 식품·의약품분야 시험·검사 등에 관한 법률 제6조
- 연구원 시험의뢰규정 제4조(시험의뢰)
의뢰인이 준비할 사항
- 검사 의뢰 시 준비 사항
- 사업자등록증 사본 1부
- 영업신고증 사본 1부
- 검사수수료
- 시험검체 및 처리기간
시험검체 및 처리기간 구분 검체소요량
(건당)처리기간
(공휴일 및 토요일 제외)식품 완제품
(단, 미생물 포함시(완제품 기준 5개 이상))500g 10일
(단, 세균발육시험 12일)축산 완제품
(단, 미생물 포함시(완제품 기준 5개 이상))500g 건강기능 완제품 200g 200g
검사의뢰절차

문의처
- 주소 : 경기도 의왕시 봇들로 50 한국식품과학연구원
- 전화 : (02)3470-8200 (내선)214, 216
- FAX : (02)3471-3492
기구.용기.포장 중점검사항목 및 수수료(단위 : 원)
구분 | 재질명 | 2023년도 최초수입식품 정밀검사 중점검사항목(2023.07.01~) |
수수료 | 규격 | 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공통규격 | 합성수지제, 셀로판제, 종이제, 전분제 | 납, 카드뮴, 수은 및 6가크롬(합으로서) | 286,000 | 100 mg/kg 이하 *필요시 검사 |
|||
유리제중 가열조리용기구 | 열충격강도 | 5,000 | 직화용 , 오븐용, 전자레인지용, 열탕용 | ||||
고무젖꼭지 | 총휘발량 | 30,000 | |||||
1 | 합성수지제 | 올레핀계 | 에틸렌-초산비닐 공중합체(EVA ) 146,000 원 |
잔류 | |||
용출 | 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과망간산칼륨소비량 | 29,000 | 10 이하 | |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 | |||||
비닐아세테이트 | 47,000 | 12 이하 | |||||
폴리메틸펜텐(PMP) | 잔류 | ||||||
용출 | 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과망간산칼륨소비량 | 29,000 | 10 이하 | |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(단,침출용액이 n-헵탄인 경우 120 이하) | |||||
4-메틸-1-펜텐 | 95,000 | 0.05 이하 | |||||
폴리부텐(PB-1) | 잔류 | ||||||
용출 | 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과망간산칼륨소비량 | 29,000 | 10 이하 | |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(다만, 사용온도가 100℃ 이하로 침출용액이 n-헵탄인 경우 150 이하, 사용온도가 100℃를 초과하고 침출용액이 n-헵탄인 경우 120 이하) | |||||
폴리비닐알코올(PVA ) | 잔류 | ||||||
용출 | 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과망간산칼륨소비량 | 29,000 | 10 이하 | |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 | |||||
비닐아세테이트 | 47,000 | 12 이하 | |||||
폴리에틸렌(PE) 213,000 원 |
잔류 | ||||||
용출(mg/L) |
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과망간산칼륨소비량 | 29,000 | 10 이하 | |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(다만,사용온도가 100도 이하로 침출용액이 n-헵탄인 경우 150 이하) | |||||
1-헥센(폴리에틸렌에 한한다) | 114,000 | 3 이하 | |||||
1-옥텐(폴리에틸렌에 한한다) | 15 이하 | ||||||
폴리프로필렌(PP) 99,000 원 |
잔류 | ||||||
용출 | 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과망간산칼륨소비량 | 29,000 | 10 이하 | |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(다만,사용온도가 100도 이하로 침출용액이 n-헵탄인 경우 150 이하) | |||||
에스테르계 | 경화폴리에스터수지(cross-linked polyester resin) 339,000 |
잔류 | |||||
용출 | 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과망간칼륨소비량 | 29,000 | 10 이하 | |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 | |||||
테레프탈산 | 120,000 | 7.5 이하 | |||||
이소프탈산 | 120,000 | 5 이하 | |||||
부틸렌숙시네이트-아디페이트 공중합체 (PBSA) 및 부틸렌숙시네이트 공중합체(PBS) | 잔류 | ||||||
용출 | 1. 전분을 함유하지 않은 경우 | ||||||
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|
과망간산칼륨소비량 | 29,000 | 10 이하 | |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 | |||||
1,4-부탄디올 | 73,000 | 5 이하 | |||||
2. 전분을 함유한 경우 | |||||||
비소 | 37,000 | 0.1 이하(As2O3로서) | |||||
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|
과망간산칼륨소비량(다만, 비내수성 용기는 제외한다.) | 29,000 | 10 이하(다만,비내수성 용기는 제외한다) | |||||
포름알데히드 | 91,000 | 4 이하 | |||||
형광증백제 | 25,000 | 불검출 | |||||
1,4-부탄디올 | 73,000 | 5 이하 | |||||
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(PBT) 412,000 원 |
잔류 | ||||||
용출 | 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과망간산칼륨소비량 | 29,000 | 10 이하 | |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 | |||||
테레프탈산 | 120,000 | 7.5 이하 | |||||
이소프탈산 | 120,000 | 5 이하 | |||||
1,4-부탄디올 | 73,000 | 5 이하 | |||||
폴리시클로헥산-1,4-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(PCT) 376,000 원 |
잔류 | ||||||
용출 | 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과망간산칼륨소비량 | 29,000 | 10 이하 | |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 | |||||
안티몬 | 37,000 | 0.04 이하 | |||||
테레프탈산 | 120,000 | 7.5 이하 | |||||
이소프탈산 | 120,000 | 5 이하 | |||||
폴리아릴레이트(PAR ) | 잔류 | ||||||
용출 | 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과망간산칼륨소비량 | 29,000 | 10 이하 | |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 | |||||
테레프탈산 | 120,000 | 7.5 이하 | |||||
이소프탈산 | 120,000 | 5 이하 | |||||
비스페놀 A(페놀, 비스페놀 A 및 p-터셔리부틸페놀의 합계로서) | 78,000 | 2.5 이하(다만,비스페놀 A는 0.6 이하) | |||||
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(PEN) | 잔류 | ||||||
용출 | 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과망간산칼륨소비량 | 29,000 | 10 이하 | |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 | |||||
2,6-디메틸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| 116,000 | 0.05 이하 | |||||
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(PET) 538,000 원 |
잔류 | ||||||
용출 |
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과망간산칼륨소비량 | 29,000 | 10 이하 | |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 | |||||
안티몬 | 37,000 | 0.04 이하 | |||||
게르마늄 | 37,000 | 0.1 이하 | |||||
테레프탈산 | 120,000 | 7.5 이하 | |||||
아세트알데히드 | 125,000 | 6 이하 | |||||
이소프탈산 | 120,000 | 5 이하 | |||||
폴리락타이드(PLA) | 잔류 | ||||||
용출 | 1. 전분을 함유하지 않은 경우 | ||||||
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|
과망간산칼륨소비량 | 29,000 | 10 이하 | |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 | |||||
2. 전분을 함유한 경우 (234,000 원) | |||||||
비소 | 39,000 | 0.1 이하(As2O3로서) | |||||
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|
과망간산칼륨소비량(다만, 비내수성 용기는 제외한다.) | 29,000 | 10 이하(다만,비내수성 용기는 제외한다) | |||||
포름알데히드 | 91,000 | 4 이하 | |||||
형광증백제 | 25,000 | 불검출 | |||||
폴리카보네이트(PC) 295,000 원 |
잔류 | 아민류(트리에틸아민과 트리부틸아민의 합계로서) | 48,000 | 1 이하 | |||
용출 | 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과망간산칼륨소비량 | 29,000 | 10 이하 | |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 | |||||
비스페놀 A(페놀, 비스페놀 A 및 p-터셔리부틸페놀의 합계로서) | 78,000 | 2.5 이하(다만,비스페놀 A는 0.6 이하) | |||||
디페닐카보네이트 | 70,000 | 0.05 이하 | |||||
히드록시부틸폴리에스테르(HBP) | 잔류 | ||||||
용출 | 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과망간산칼륨소비량 | 29,000 | 10 이하 | |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 | |||||
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( PBAT) 412,000 원 |
잔류 | ||||||
용출 | 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과망간산칼륨소비량 | 29,000 | 10 이하 | |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 | |||||
테레프탈산 | 120,000 | 7.5 이하 | |||||
이소프탈산 | 120,000 | 5 이하 | |||||
1,4-부탄디올 | 73,000 | 5 이하 | |||||
히드록시안식향산폴리에스테르(hydroxybenzoic acid polyester) | 잔류 | ||||||
용출 | 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과망간칼륨소비량 | 29,000 | 10 이하 | |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 | |||||
스티렌계 | 메틸메타크릴레이트-아크릴로니트릴-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(MABS) | 잔류 | 휘발성물질(스티렌, 톨루엔, 에틸벤젠, 이소프로필벤젠 및 n-프로필벤젠의 합계로서) | 54,000 | 5,000 이하 | ||
1,3-부타디엔 | 94,000 | 1 이하 | |||||
용출 | 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과망간산칼륨소비량 | 29,000 | 10 이하 | |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 | |||||
메틸메타크릴레이트(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함유율이 50%이상인 합성수지제) | 60,000 | 6 이하 | |||||
아크릴로니트릴 | 71,000 | 0.02 이하 | |||||
아크릴로니트릴-부타디엔-스티렌 공중합체 (ABS) 318,000 원 |
잔류 | 휘발성물질(스티렌, 톨루엔, 에틸벤젠, 이소프로필벤젠 및 n-프로필벤젠의 합) | 54,000 | 5,000 이하 | |||
1,3-부타디엔(ABS에 한함) | 94,000 | 1 이하(ABS에 한한다) | |||||
용출 | 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과망간산칼륨소비량 | 29,000 | 10 이하 | |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(다만,침출용액이n-헵탄인경우240 이하) | |||||
아크릴로니트릴 | 71,000 | 0.02 이하 | |||||
아크릴로니트릴-스티렌(AS) 224,000 원 |
잔류 | 휘발성물질(스티렌, 톨루엔, 에틸벤젠, 이소프로필벤젠 및 n-프로필벤젠의 합) | 54,000 | 5,000 이하 | |||
용출 | 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과망간산칼륨소비량 | 29,000 | 10 이하 | |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(다만,침출용액이n-헵탄인경우240 이하) | |||||
아크릴로니트릴 | 71,000 | 0.02 이하 | |||||
폴리메타크릴스티렌(MS ) 213,000 |
잔류 | 휘발성물질(스티렌, 톨루엔, 에틸벤젠, 이소프로필벤젠 및 n-프로필벤젠의 합) | 54,000 | 5,000 이하 | |||
용출 | 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과망간산칼륨소비량 | 29,000 | 10 이하 | |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(다만,침출용액이n-헵탄인경우240 이하) | |||||
메틸메타크릴레이트(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함유율이 50%이상인 합성수지제) | 60,000 | 6 이하 | |||||
폴리스티렌(PS) 153,000 원 |
잔류(mg/kg) |
휘발성물질(스티렌, 톨루엔, 에틸벤젠, 이소프로필벤젠 및 n-프로필벤젠의 합) | 54,000 | 5,000 이하(다만,열탕을 사용하는 발포 폴리 스티엔의 경우 휘발성물질의 총량은 2,000 이하이어야 하며, 그중 스티렌 및 에틸벤젠은 각각 1,000 이하) |
|||
용출 | 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과망간산칼륨소비량 | 29,000 | 10 이하 | |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(단,침출액이 n-헵탄인 경우240 이하) | |||||
아민계 | 폴리아미드(PA) 451,000 원 |
잔류 | |||||
용출 | 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과망간산칼륨소비량 | 29,000 | 10 이하 | |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 | |||||
카프로락탐 | 64,000 | 15 이하 | |||||
일차방향족아민(아닐린, 4,4'-메틸렌디아닐린, 2,4-톨루엔디아민의 합계로서) | 110,000 | 0.01 이하 | |||||
에틸렌디아민 | 114,000 | 12 이하 | |||||
헥사메틸렌디아민 | 2.4 이하 | ||||||
라우로락탐 | 64,000 | 5 이하 | |||||
폴리우레탄(PU ) 310,000 원 |
잔류 | ||||||
용출 | 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과망간산칼륨소비량 | 29,000 | 10 이하 | |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 | |||||
이소시아네이트 | 61,000 | 0.1 이하 | |||||
4,4'-메틸렌디아닐린 | 150,000 | 0.01 이하 | |||||
폴리이미드(PI) | 잔류 | ||||||
용출 | 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과망간산칼륨소비량 | 29,000 | 10 이하 | |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 | |||||
아크릴계 | 아크릴수지(acryl resin) 159,000 원 |
잔류 | |||||
용출 | 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과망간산칼륨소비량 | 29,000 | 10 이하 | |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 | |||||
메틸메타크릴레이트(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함유율이 50%이상인 합성수지제에 한함) | 60,000 | 6 이하 | |||||
이오노머 수지(Ionomeric resin) | 잔류 | ||||||
용출 | 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과망간산칼륨소비량 | 29,000 | 10 이하 | |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 | |||||
폴리아크릴로니트릴(PAN) | 잔류 | ||||||
용출 | 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과망간산칼륨소비량 | 29,000 | 10 이하 | |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 | |||||
아크릴로니트릴 | 71,000 | 0.02 이하 | |||||
알데히드계 | 멜라민수지(MF) 303,000 원 |
잔류 | |||||
용출 | 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 | |||||
페놀 | 71,000 | 5 이하 | |||||
포름알데히드 | 91,000 | 4 이하 | |||||
멜라민 | 71,000 | 2.5 이하 | |||||
요소수지(UF) | 잔류 | ||||||
용출 | 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 | |||||
페놀 | 71,000 | 5 이하 | |||||
포름알데히드 | 91,000 | 4 이하 | |||||
페놀수지(PF) 232,000 |
잔류 | ||||||
용출 | 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 | |||||
페놀 | 71,000 | 5 이하 | |||||
포름알데히드 | 91,000 | 4 이하 | |||||
폴리아세탈(POM) 190,000 원 |
잔류 | ||||||
용출 | 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과망간산칼륨소비량 | 29,000 | 10 이하 | |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 | |||||
포름알데히드 | 91,000 | 4 이하 | |||||
에테르계 | 폴리아릴설폰(PASF) 255,000 원 |
잔류 | |||||
용출 | 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과망간산칼륨소비량 | 29,000 | 10 이하 | |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 | |||||
비스페놀 A(페놀, 비스페놀 A 및 p-터셔리부틸페놀의 합계로서) | 78,000 | 2.5 이하(다만,비스페놀 A는 0.6 이하) | |||||
4,4'-디클로로디페닐설폰 | 78,000 | 0.05 이하 | |||||
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(PEEK) 173,000 원 |
잔류 | ||||||
용출 | 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과망간산칼륨소비량 | 29,000 | 10 이하 | |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 | |||||
히드로퀴논 | 74,000 | 0.6 이하 | |||||
폴리에테르설폰(PES) 259,000 원 |
잔류 | ||||||
용출 | 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과망간산칼륨소비량 | 29,000 | 10 이하 | |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 | |||||
4,4'-디클로로디페닐설폰 | 78,000 | 0.05 이하 | |||||
4,4'-디히드록시디페닐설폰 | 82,000 | 0.05 이하 | |||||
폴리페닐렌설파이드(PPS) 177,000 원 |
잔류 | ||||||
용출 | 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과망간산칼륨소비량 | 29,000 | 10 이하 | |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 | |||||
1,4-디클로로벤젠 | 78,000 | 12 이하 | |||||
폴리페닐렌에테르(PPE) 153,000 원 |
잔류 | 휘발성물질(스티렌, 톨루엔, 에틸벤젠, 이소프로필벤젠 및 n-프로필벤젠의 합계로서) | 54,000 | 5,000 이하 | |||
용출 | 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과망간산칼륨소비량 | 29,000 | 10 이하 | |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 | |||||
염화비닐계 | 폴리염화비닐(PVC) 544,000 원 |
잔류 |
염화비닐 | 96,000 | 1 이하 | ||
디부틸주석화합물 | 100,000 | 50 이하(이염화디부틸주석으로서) | |||||
크레졸인산에스테르 | 92,000 | 1,000 이하 | |||||
용출 |
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과망간칼륨소비량 | 29,000 | 10 이하 | |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(단,침출액이 n-헵탄인 경우 150 이하) | |||||
디부틸프탈레이트 | 157,000 | 0.3 이하 | |||||
벤질부틸프탈레이트 | 30 이하 | ||||||
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 | 1.5 이하 | ||||||
디-n-옥틸프탈레이트 | 5 이하 | ||||||
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 및 디이소데실프탈레이트 | 9 이하(합계로서)('14.1.1 시행) | ||||||
디에틸헥실아디페이트 | 18 이하 | ||||||
폴리염화비닐리덴(PVDC) | 잔류 | 염화비닐리덴 | 92,000 | 6 이하 | |||
용출 | 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바륨(잔류 삭제, 용출 신설 : '14.1.1 시행) | 46,000 | 1 이하 | |||||
과망간산칼륨소비량 | 29,000 | 10 이하 | |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 | |||||
기타 | 불소수지(FR) 99,000 원 |
잔류 | |||||
용출 | 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과망간산칼륨소비량 | 29,000 | 10 이하 | |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 | |||||
에폭시 수지(epoxy resin) 602,000 원 |
잔류 | 아민류(트리에틸아민과 트리부틸아민의 합계로서) | 48,000 | 1 이하 | |||
용출 | 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과망간산칼륨소비량 | 29,000 | 10 이하 | |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 | |||||
비스페놀 A(페놀, 비스페놀 A 및 p-터셔리부틸페놀의 합계로서) | 78,000 | 2.5 이하(다만,비스페놀 A는 0.6 이하) | |||||
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(이염화물과 이수화물 포함) | 73,000 | 1 이하 | |||||
비스페놀 F 디글리시딜에테르(이염화물과 이수화물 포함) | 73,000 | 1 이하 | |||||
에피클로로히드린 | 81,000 | 0.5 이하 | |||||
4,4'-메틸렌디아닐린 | 150,000 | 0.01 이하 | |||||
폴리케톤(PK) 99,000 원 |
잔류 | ||||||
용출 | 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과망간산칼륨소비량 | 29,000 | 10 이하 | |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(다만,사용온도가 100도 이하로 침출용액이 n-헵탄인 경우 150 이하) | |||||
2 | 가공셀룰로스제 | 가공셀룰로스제 | 잔류 | ||||
용출 | 비소 | 38,000 | 0.1 이하(As2O3로서) | ||||
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|
총용출량 | 20,000 | 30 이하 | |||||
3 | 고무제 | 고무제 |
잔류(mg/kg) |
납 | 64,000 | 고무젖꼭지:10 이하, 이외의 고무제:100 이하 | |
카드뮴 | 67,000 | 고무젖꼭지:10 이하, 이외의 고무제:100 이하 | |||||
2-머캅토이미다졸린(염소를 함유한 고무제에 한함) | 68,000 | 불검출 | |||||
1,3-부타디엔(1,3-부타디엔의 함유율이 50%이상인 고무제에 한함) | 94,000 | 1 이하 | |||||
용출(mg/ L) |
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총용출량 | 20,000 | 고무젖꼭지:40 이하, 이외의 고무제:60 이하 | |||||
페놀 | 71,000 | 5 이하 | |||||
포름알데히드 | 91,000 | 4 이하 | |||||
아연 | 51,000 | 고무젖꼭지:1 이하, 이외의 고무제:15 이하 | |||||
니트로사민류(N-니트로소디메틸아민, N-니트로소디에틸아민, N-니트로소디-n-프로필아민, N-니트로소디-n-부틸아민, N-니트로소피페리딘, N-니트로소피롤리딘, N-니트로소몰폴린의 합, 고무젖꼭지에 한함) | 197,000 | 0.01 mg/kg이하 | |||||
니트로사민류 생성 가능물질(N-니트로소디메틸아민, N-니트로소디에틸아민, N-니트로소디-n -프로필아민, N-니트로소디-n-부틸아민, N-니트로소피페리딘, N-니트로소피롤리딘, N-니트로소몰폴린의 합, 고무젖꼭지에 한함) | 165,000 | 0.1 mg/kg이하 | |||||
총휘발량 | 30,000 | ||||||
고무제 (고무젖꼭지 이외의고무제) 414,000 원 |
잔류 | 납 | 64,000 | 고무젖꼭지:10 이하, 이외의 고무제:100 이하 | |||
카드뮴 | 67,000 | 고무젖꼭지:10 이하, 이외의 고무제:100 이하 | |||||
용출 | 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
총용출량 | 20,000 | 고무젖꼭지:40 이하, 이외의 고무제:60 이하 | |||||
페놀 | 71,000 | 5 이하 | |||||
포름알데히드 | 91,000 | 4 이하 | |||||
아연 | 51,000 | 고무젖꼭지:1 이하, 이외의 고무제:15 이하 | |||||
4 | 종이제 | 종이제 477,000 원 |
잔류 | PCBs ※ 식품과 직접 접촉하는 면에 식품용 왁스가 사용된 경우에는 규격을 적용하지 아니할 수 있음 ※ 합성수지제 또는 고무제 등이 사용된 경우에는 해당 재질의 잔류규격 적용 |
274,000 | 5 이하 | |
용출 | 비소 | 37,000 | 0.1 이하(As2O3로서) | ||||
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|
포름알데히드 | 91,000 | 4 이하 | |||||
형광증백제 | 25,000 | 불검출 | |||||
※ 식품과 직접 접촉하는 면에 합성수지제, 고무제 등이 사용된 경우 해당재질의 용출규격 적용 | |||||||
5 | 금속제 | 금속제 267,000 원 |
잔류 | ※ 식품과 직접 접촉하는 면에 합성수지제, 고무제 또는 도자기제 등이 사용된 경우 해당재질의 잔류규격 적용 | |||
용출 | 납 | 52,000 | 0.4 이하 | ||||
카드뮴 | 52,000 | 0.1 이하 | |||||
니켈 | 52,000 | 0.1 이하 | |||||
6가크롬 | 59,000 | 0.1 이하 | |||||
비소 | 52,000 | 0.2 이하(As2O3로서) | |||||
※건조한식품(유지및지방성식품 제외)을 내용물로 하는 것, 금속제와 화학적으로 반응성이 낮은 식품첨가물로 지정된 기체(질소, 산소, 수소, 이산화탄소, 아산화질소 등)에만 접촉하여 사용되는 기구는 규격을 적용하지 아니할 수 있음 ※ 식품과 직접 접촉하는 면에 합성수지제, 고무제 또는 도자기제 등이 사용된 경우 해당재질의 용출규격 적용 |
|||||||
6 | 목재류 | 목재류 |
잔류 | ※ 식품과 직접 접촉하는 면에 합성수지제, 고무제 등이 사용된 경우 해당재질의 잔류규격 적용 | |||
용출 | 비소 | 51,000 | 0.1 이하 (As2O3로서) | ||||
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|
이산화황 | 33,000 | 12.8 이하 | |||||
오쏘페닐페놀 | 105,000 | 7.3 이하 | |||||
티아벤다졸 | 105,000 | 1.8 이하 | |||||
비페닐 | 105,000 | 0.9 이하 | |||||
이마잘릴 | 104,000 | 0.6 이하 | |||||
포름알데히드 | 91,000 | (집성목의 경우 포름알데히드 추가) | |||||
※ 식품과 직접 접촉하는 면에 합성수지제, 고무제 등이 사용된 경우 해당재질의 용출규격 적용 | |||||||
7 | 유리제,도자기제, 법랑 및 옹기류 | 유리제 | 용출 | 납 | 50,000 | 아래 표 (가 또는 나) |
|
카드뮴 | 50,000 | ||||||
도자기제.옹기류 | 용출 | 납 | 50,000 | ||||
카드뮴 | 50,000 | ||||||
비소(옹기류에 한함, 단, 액체를 채울수 없거나 액체를 채웠을 때 깊이가 2.5cm미만인 경우 제외) | 50,000 | ||||||
법랑 148,000 원 |
용출 | 납 | 50,000 | ||||
카드뮴 | 50,000 | ||||||
안티몬(신설 : '14.1.1 시행) | 48,000 | ||||||
8 | 전분제 | 전분제 234,000 원 |
잔류 | ||||
용출 | 비소 | 39,000 | 0.1 이하 (As2O3로서) | ||||
납 | 50,000 | 1 이하 | |||||
과망간산칼륨소비량(다만, 비내수성 용기는 제외한다.) | 29,000 | 10 이하 | |||||
포름알데히드 | 91,000 | 4 이하 | |||||
형광증백제 | 25,000 | 불검출 |
유리제
구분 | 납 | 카드뮴 | ||
---|---|---|---|---|
액체를 채웠을 때 깊이가 2.5 cm 이상인 경우 |
가열조리용 | 0.5 이하 (mg/L) |
0.05 이하(mg/L) | |
가열조리용 이외 | 용량 600 mL 미만 | 1.5 이하 (mg/L) |
0.5 이하(mg/L) | |
용량 600 mL 이상 3 L 미만 | 0.75 이하 (mg/L) |
0.25 이하(mg/L) | ||
용량 3 L 이상 | 0.5 이하 (mg/L) |
0.25 이하(mg/L) | ||
액체를 채울 수 없거나 액체를 채웠을 때 깊이가 2.5 cm 미만인 경우 | 8 ㎍/㎠ 이하 |
0.7 ㎍/㎠ 이하 |
도자기제·옹기류
구분 | 납 | 카드뮴 | 비소 | ||
---|---|---|---|---|---|
액체를 채웠을 때 깊이가 2.5 cm 이상인 경우 |
가열조리용 | 0.5 mg/L 이하 | 0.05 mg/L 이하 |
0.05 mg/L 이하 (As2O3로서) (옹기류에 한한다) |
|
가열조리용 이외 | 용량 1.1L 미만 | 2 mg/L 이하 | 0.5 mg/L 이하 |
||
용량 1.1L 이상 3 L 미만 | 1 mg/L 이하 | 0.25 mg/L 이하 |
|||
용량 3 L 이상 | 0.5 mg/L 이하 | 0.25 mg/L 이하 |
1 이하 (신설 : '14.1.1 시행) |
||
액체를 채울 수 없거나 액체를 채웠을 때 깊이가 2.5 cm 미만인 경우 | 8 ㎍/㎠ 이하 | 0.7 ㎍/㎠ 이하 |
- |
법랑
구분 | 납 | 카드뮴 | 안티몬 | ||
---|---|---|---|---|---|
액체를 채웠을 때 깊이가 2.5 cm 이상인 경우 |
가열조리용 | 3L 미만 |
0.4 mg/L 이하 | 0.07 mg/L 이하 |
0.1 mg/L 이하 |
3L 이상 |
1 ㎍/㎠ 이하 | 0.5 ㎍/㎠ 이하 | 1 ㎍/㎠ 이하 | ||
가열조리용 이외 | 3L 미만 |
0.8 mg/L 이하 | 0.07 mg/L 이하 |
0.1 mg/L 이하 | |
3L 이상 |
1 ㎍/㎠ 이하 | 0.5 ㎍/㎠ 이하 | 1 ㎍/㎠ 이하 | ||
액체를 채울 수 없거나 액체를 채웠을 때 깊이가 2.5 cm 미만인 경우 |
가열조리용 | 1 ㎍/㎠ 이하 | 0.5 ㎍/㎠ 이하 | 1 ㎍/㎠ 이하 | |
가열조리용 이외 | 8 ㎍/㎠ 이하 | 0.7 ㎍/㎠ 이하 | 1 ㎍/㎠ 이하 |
자가품질(식품) 검사항목 및 수수료 (단위 : 원)
식품군 | 식품종 | 식품유형 | 자가품질 검사항목 (고시 제2023-2호, 2023.1.5.개정) |
규격 | 수수료 (단위 : 원) |
---|---|---|---|---|---|
1. 과자류, 빵류 또는 떡류 | 과자 | 산가(유탕,유처리식품) | 2.0 이하(한과류는 3.0 이하) | 29,000 | |
세균수(밀봉제품에 한함, 발효 또는 유산균제품 제외) | n=5, c=2, m=10,000, M=50,000 | 60,000 | |||
총 아플라톡신(땅콩또는견과류 함유제품) | 15.0 이하 (단, B1은 10.0 이하이어야 한다)(μg/kg) | 140,000 | |||
허용외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|
황색포도상구균(크림 도포 또는 충전한 것) | n=5, c=0, m=0/25g | 116,000 | |||
캔디류 | 허용외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
타르색소(정량) | 식품첨가물공전에 사용기준 | 79,000 | |||
세균수(밀봉제품에 한함, 발효 또는유산균제품 제외) | n=5, c=2, m=10,000, M=50,000 | 60,000 | |||
총 아플라톡신(땅콩 또는 견과류 함유제품) | 15.0 이하 (단, B1은 10.0 이하이어야 한다)(μg/kg) | 140,000 | |||
압착강도(컵모양, 막대형 등 젤리) | 5 이하 | 35,000 | |||
총산(구연산으로서, w/w%) | 6.0 미만(캔디류에 한하며, 표면에 신맛 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경우는 4.5 미만) | 35,000 | |||
납(젤리, 사탕에 한함) | 0.2 이하 | 60,000 | |||
추잉껌 | 허용외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
타르색소(정량) | 식품첨가물공전에 사용기준 | 79,000 | |||
산화방지제 | 0.4 g/kg 이하(병용할 때에는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으로서 사용량, 부틸히드록시아니솔으로서 사용량 및 터셔리부틸히드로퀴논으로서 사용량의 합계가 0.4 g/kg 이하) | 75,000 | |||
빵류 | 허용외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
타르색소(정량) | 식품첨가물공전에 사용기준 | 79,000 | |||
보존료 | 2.5 이하(프로피온산으로서) 빵류에 한함 | 55,000 | |||
1.0 이하(소브산으로서)팥 등 앙금류에 한함 | 130,000 | ||||
황색포도상구균(크림 도포 또는 충전 후 가열살균하지 않고 그대로 섭취하는 것) | n=5, c=0, m=0/10g | 116,000 | |||
살모넬라 (크림 도포 또는 충전 후 가열살균하지 않고 그대로 섭취하는 것) | n=5, c=0, m=0/10g | 76,000 | |||
떡류 | 사카린나트륨 | 불검출 | 49,000 | ||
보존료(팥 등 앙금류에 한함) | 1.0 이하(소브산으로서)팥 등 앙금류에 한함 | 75,000 | |||
대장균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2. 빙과류 | 빙과 | 빙과 | 세균수(밀봉제품에 한함, 발효 또는 유산균함유 제품 제외) | n=5, c=2, m=10,000, M=50,000 | 60,000 |
대장균군 | n=5, c=2, m=0, M=10 | 80,000 | |||
얼음류 | 식용얼음 | 세균수 | n=5, c=2, m=100, M=1,000 | 60,000 | |
대장균군 | n=5, c=2, m=0, M=10/50ml | 80,000 | |||
어업용얼음 | 세균수 | n=5, c=2, m=100, M=1,000 | 60,000 | ||
대장균군 | n=5, c=2, m=0, M=10/50ml | 80,000 | |||
3. 코코아 가공품류 또는 초콜릿류 |
코코아가공품류 | 코코아매스 | - | - | - |
코코아버터 | - | - | - | ||
코코아분말 | 납 | 2.0 이하(mg/kg) | 60,000 | ||
기타 코코아가공품 | 황색포도상구균 | n=5, c=0, m=0/25g | 116,000 | ||
살모넬라 | n=5, c=0, m=0/25g | 76,000 | |||
초콜릿류 | 초콜릿 밀크초콜릿 화이트초콜릿 준초콜릿 초콜릿가공품 |
허용외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
타르색소(정량) | 식품첨가물공전에 사용기준 | 79,000 | |||
세균수(밀봉제품에 한함, 발효 또는 유산균 제품 제외) | n=5, c=2, m=10,000, M=50,000 | 60,000 | |||
4. 당류 | 설탕류 | 설탕 |
납 | 0.5 이하(mg/kg) | 60,000 |
이산화황 | 0.020 미만(g/kg) | 36,000 | |||
기타설탕 | 납 | 1.0 이하(mg/kg) | 60,000 | ||
이산화황 | 0.020 미만(g/kg) | 36,000 | |||
당시럽류 | 당시럽류 | 사카린나트륨 | 불검출 | 49,000 | |
납 | 1.0 이하(mg/kg) | 60,000 | |||
올리고당류 | 올리고당 올리고당가공품 |
납 | 1.0 이하(mg/kg) | 60000 | |
포도당 | 포도당 | 납 | 0.5 이하(mg/kg) | 60,000 | |
과당류 | 과당 |
납 | 0.5 이하(mg/kg) | 60,000 | |
기타과당 | 납 | 0.5 이하(mg/kg) | 60,000 | ||
엿류 | 물엿 기타 엿 덱스트린 |
사카린나트륨 | 불검출 | 49,000 | |
납 | 1.0 이하(mg/kg) | 60,000 | |||
당류가공품 | 당류가공품 | 중금속 | 10 이하(mg/kg) | 40,000 | |
대장균(비살균제품중 더이상 가공,가열조리 하지 않고 그대로 섭취하는 제품에 한함) | n=5, c=1, m=0 M=10 | 80,000 | |||
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1, m=0 M=10 | 80,000 | |||
세균수(멸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0, m=0 | 60,000 | |||
5. 잼류 | 잼 |
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
보존료 | 식품공전 참조 | 130,000 | |||
납 | 1.0 이하(mg/kg) | 60,000 | |||
기타잼 | 보존료 | 식품공전 참조 | 130,000 | ||
납 | 1.0 이하(mg/kg) | 60,000 | |||
6. 두부류 또는 묵류 | 두부 묵류 |
중금속 | 3.0 이하(mg/kg) | 40,000 | |
대장균군(충전,밀봉제품에 한함)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|
유바 가공두부 |
중금속 | 3.0 이하(mg/kg) | 40,000 | ||
대장균군(충전,밀봉제품에 한함)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|
7. 식용유지류 | 식물성유지류 | 콩기름(대두유) | 벤조피렌 | 2.0 이하(㎍/kg) | 150,000 |
옥수수기름(옥배유) | 벤조피렌 | 2.0 이하(㎍/kg) | 150,000 | ||
채종유(유채유 또는 카놀라유) | 벤조피렌 | 2.0 이하(㎍/kg) | 150,000 | ||
미강유(현미유) | 벤조피렌 | 2.0 이하(㎍/kg) | 150,000 | ||
참기름 | 벤조피렌 | 2.0 이하(㎍/kg) | 150,000 | ||
추출참깨유 | 벤조피렌 | 2.0 이하(㎍/kg) | 150,000 | ||
들기름 | 벤조피렌 | 2.0 이하(㎍/kg) | 150,000 | ||
산화방지제 | 식품공전 참조 | 75,000 | |||
추출들깨유 | 벤조피렌 | 2.0 이하(㎍/kg) | 150,000 | ||
산화방지제 | 식품공전 참조 | 75,000 | |||
홍화유(사플라워유 또는 잇꽃유) | 벤조피렌 | 2.0 이하(㎍/kg) | 150,000 | ||
해바라기유 | 벤조피렌 | 2.0 이하(㎍/kg) | 150,000 | ||
목화씨기름(면실유) | 벤조피렌 | 2.0 이하(㎍/kg) | 150,000 | ||
땅콩기름(낙화생유) | 벤조피렌 | 2.0 이하(㎍/kg) | 150,000 | ||
산화방지제 | 식품공전 참조 | 75,000 | |||
올리브유 | 벤조피렌 | 2.0 이하(㎍/kg) | 150,000 | ||
팜유 | 벤조피렌 | 2.0 이하(㎍/kg) | 150,000 | ||
팜올레인유 | 벤조피렌 | 2.0 이하(㎍/kg) | 150,000 | ||
팜스테아린유 | 벤조피렌 | 2.0 이하(㎍/kg) | 150,000 | ||
팜핵류 | 벤조피렌 | 2.0 이하(㎍/kg) | 150,000 | ||
야자유 | 벤조피렌 | 2.0 이하(㎍/kg) | 150,000 | ||
고추씨기름 | 벤조피렌 | 2.0 이하(㎍/kg) | 150,000 | ||
기타식물성유지 | 벤조피렌 | 2.0 이하(㎍/kg) | 150,000 | ||
산화방지제 | 식품공전 참조 | 75,000 | |||
동물성유지류 | 어유 | 벤조피렌 | 2.0 이하(㎍/kg) | 150,000 | |
산화방지제 | 식품공전 참조 | 75,000 | |||
기타동물성유지 | 벤조피렌 | 2.0 이하(㎍/kg) | 150,000 | ||
산화방지제 | 식품공전 참조 | 75,000 | |||
식용유지가공품 | 혼합식용유 | 벤조피렌 | 2.0 이하(㎍/kg) | 150,000 | |
산화방지제 | 식품공전 참조 | 75,000 | |||
향미유 | 벤조피렌 | 2.0 이하(㎍/kg) | 150,000 | ||
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|
가공유지 | 벤조피렌 | 2.0 이하(㎍/kg) | 150,000 | ||
산화방지제 | 식품공전 참조 | 75,000 | |||
쇼트닝 | 벤조피렌 | 2.0 이하(㎍/kg) | 150,000 | ||
산화방지제 | 식품공전 참조 | 75,000 | |||
마가린 |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
산화방지제 | 식품공전 참조 | 125,000 | |||
보존료 | 식품공전 참조 | 75,000 | |||
모조치즈 | 대장균군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
허용외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|
식물성크림 | 대장균군(건조제품 제외)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
기타 식용유지가공품 |
산가 | 3.0 이하 | 29,000 | ||
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세균수(멸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0, m=0 | 60,000 | |||
8. 면류 | 생면 숙면 건면 유탕면 |
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
보존료 | 불검출 | 130,000 | |||
대장균(주정처리제품에 한함)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9. 음료류 | 다류 | 침출차 |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
납 | 5.0 이하 (mg/kg) | 60,000 | |||
액상차 |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
납 | 0.3 이하 (mg/kg) | 60,000 | |||
세균수 | n=5, c=1, m=100, M=1,000 | 60,000 | |||
대장균군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고형차 |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
납 | 2.0 이하 (mg/kg) | 60,000 | |||
커피 | 커피 | 납 | 2.0 이하 (mg/kg) | 60,000 | |
허용외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|
세균수(액상제품 중 더 이상 제조, 가공하지 않고 그대로 섭취하는 제품에 한함) | n=5, c=1, m=100, M=1,000(액상제품에 한하며, 무지유고형분 4% 이상의 제품은 n=5, c=2, m=10,000, M=50,000으로 한다. 다만, 멸균제품은 n=5, c=0, m=0이어야 한다.) | 60,000 | |||
대장균군(액상제품 중 더 이상 제조, 가공하지 않고 그대로 섭취하는 제품에 한함)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과일·채소류음료 | 농축과·채즙 과·채주스 |
납 | 0.05 이하(mg/kg) | 60,000 | |
카드뮴 | 0.1 이하(mg/kg) | 60,000 | |||
세균수 | n=5, c=1, m=100, M=1,000(다만, 가열하지 아니한 제품 또는 가열하지 아니한 원료가 함유된 제품은 n=5, c=1, m=100,000, M=500,000 이하) | 60,000 | |||
대장균군(가열하지 아니한 제품 또는 가열하지 아니한 원료 함유된 제품 제외)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파튤린(사과주스, 사과주스농축액) | 50μg/kg 이하 | 90,000 | |||
보존료 | 식품공전 참조 | 75,000 | |||
대장균(가열하지 아니한 제품 또는 가열하지 아니한 원료 함유된 제품)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과·채음료 | 납 | 0.05 이하(mg/kg) | 60,000 | ||
카드뮴 | 0.1 이하(mg/kg) | 60,000 | |||
세균수 | n=5, c=1, m=100, M=1,000(다만, 가열하지 아니한 제품 또는 가열하지 아니한 원료가 함유된 제품은 n=5, c=1, m=100,000, M=500,000 이하) | 60,000 | |||
대장균군(가열하지 아니한 제품 또는 가열하지 아니한 원료 함유된 제품 제외)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보존료 | 식품공전 참조 | 75,000 | |||
대장균(가열하지 아니한 제품 또는 가열하지 아니한 원료 함유된 제품)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탄산음료류 | 탄산음료 |
납 | 0.3 이하(mg/kg) | 60,000 | |
카드뮴 | 0.1 이하(mg/kg) | 60,000 | |||
세균수 | n=5, c=1, m=100, M=1,000 | 60,000 | |||
대장균군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보존료 | 0.6 이하(안식향산으로서) | 75,000 | |||
탄산수 |
납 | 0.3 이하(mg/kg) | 60,000 | ||
카드뮴 | 0.1 이하(mg/kg) | 60,000 | |||
세균수 | n=5, c=1, m=100, M=1,000 | 60,000 | |||
대장균군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보존료 | 불검출 | 130,000 | |||
두유류 | 원액두유 가공두유 |
세균수 | n=5, c=2, m=10,000, M=50,000 | 60,000 | |
멸균제품은 n=5, c=0, m=0이어야 한다 | |||||
대장균군(멸균제품 제외) | n=5, c=2, m=0, M=10 | 80,000 | |||
발효음료류 | 유산균음료 효모음료 기타발효음료 |
세균수(살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1, m=100, M=1,000 | 60,000 | |
대장균군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보존료 | 0.05 이하(소르빈산으로서) | 75,000 | |||
불검출(단, 살균제품일 경우) | 130,000 | ||||
인삼·홍삼음료 | 인삼·홍삼음료 |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
납 | 0.3 이하(mg/kg) | 60,000 | |||
세균수 | n=5, c=1, m=100, M=1,000 | 60,000 | |||
대장균군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보존료 | 식품공전 참조 | 75,000 | |||
기타음료 | 혼합음료 음료베이스 |
납 | 0.3 이하(mg/kg) | 60,000 | |
카드뮴 | 0.1 이하(mg/kg) | 60,000 | |||
세균수(분말제품, 유산균 함유제품은 제외) | n=5, c=1, m=100, M=1,000 | 60,000 | |||
대장균군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보존료 | 식품공전 참조 | 75,000 | |||
불검출(단, 분말제품 일 경우) | 130,000 | ||||
10. 특수영양식 | 영아용조제식 | 영아용조제식 | 사카린나트륨 | 불검출 | 49,000 |
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|
세균수(유산균 첨가제품 제외) | n=5, c=2, m=1,000, M=10,000(멸균제품은 n=5, c=0, m=0, 다만, 유산균 첨가제품은 제외한다) | 60,000 | |||
대장균군(멸균제품 제외) | n=5, c=0, m=0 | 80,000 | |||
크로노박터(멸균제품 제외) | n=5, c=0, m=0/60g | 90,000 | |||
바실루스 세레우스(멸균제품 제외) | n=5, c=0, m=100 | 241,000 | |||
탄화물(분말제품에 한함) | 100 g당 7.5 mg | 15,000 | |||
성장기용조제식 | 성장기용조제식 | 사카린나트륨 | 불검출 | 49,000 | |
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|
세균수(유산균 첨가제품 제외) | n=5, c=2, m=1,000, M=10,000(멸균제품은 n=5, c=0, m=0. 다만, 유산균 첨가제품은 제외한다) | 60,000 | |||
대장균군(멸균제품 제외) | n=5, c=0, m=0 | 80,000 | |||
바실루스 세레우스(멸균제품 제외) | n=5, c=0, m=100 | 241,000 | |||
탄화물(분말제품) | 100 g당 7.5 mg | 15,000 | |||
영.유아용 이유식 | 영.유아용 이유식 | 사카린나트륨 | 불검출 | 49,000 | |
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|
대장균군(멸균제품 제외) | n=5, c=0, m=0 | 80,000 | |||
세균수(분말제품제외) | n=5, c=1, m=10, M=100(멸균제품은 n=5, c=0, m=0이어야 하며, 분말제품은 제외한다) | 60,000 | |||
크로노박터(영아영제품에 한하며, 멸균제품제외) | n=5, c=0, m=0/60g(영아용 제품에 한하며, 멸균제품은 제외한다) | 90,000 | |||
바실루스 세레우스(멸균제품 제외) | n=5, c=0, m=100 | 241,000 | |||
체중조절용 조제식품 |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| 대장균군 | n=5, c=0, m=0, M=10 | 80,000 | |
바실루스 세레우스 | n=5, c=0, m=100(단, 장류를 원료로 사용하는 제품은 n=5, c=0, m=1,000) | 241,000 | |||
임산·수유부용 식품 | 임산·수유부용 식품 | 대장균군 | n=5, c=0, m=0 | 80,000 | |
세균수(액상제품에 한함) | n=5, c=1, m=10, M=100 | 60,000 | |||
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|
특수의료용도등식품 | 고령자용 영양조제식품 |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
세균수 | n=5, c=1, m=10, M=100(분말제품은 n=5, c=2, m=1,000, M=10,000) | 60,000 | |||
대장균군 | n=5, c=0, m=0 | 80,000 | |||
바실러스세레우스 | n=5, c=0, m=100 | 241,000 | |||
11. 특수의료용도등식품 | 표준형영양조제식품 | 일반 환자용 균형영양조제식품(균형영양조제식품) |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
세균수 | n=5, c=1, m=10, M=100(분말제품은 n=5, c=2, m=1,000, M=10,000) | 60,000 | |||
대장균군 | n=5, c=0, m=0 | 80,000 | |||
바실루스세레우스 | n=5, c=0, m=100 | 241,000 | |||
당뇨환자용 영양조제식품 |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
세균수 | n=5, c=1, m=10, M=100(분말제품은 n=5, c=2, m=1,000, M=10,000) | 60,000 | |||
대장균군 | n=5, c=0, m=0 | 80,000 | |||
바실루스세레우스 | n=5, c=0, m=100 | 241,000 | |||
신장질환자용 영양조제식품 | 타르색소 | 표시량 이상 또는 표시된 범위 이내 | 114,000 | ||
세균수 | n=5, c=1, m=10, M=100(분말제품은 n=5, c=2, m=1,000, M=10,000) | 60,000 | |||
대장균군 | n=5, c=0, m=0 | 80,000 | |||
바실루스세레우스 | n=5, c=0, m=100 | 241,000 | |||
장질환자용 단백가수분해 영양조제식품 |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
세균수 | n=5, c=1, m=10, M=100(분말제품은 n=5, c=2, m=1,000, M=10,000) | 60,000 | |||
대장균군 | n=5, c=0, m=0 | 80,000 | |||
바실루스세레우스 | n=5, c=0, m=100 | 241,000 | |||
암환자용 영양조제식품 |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
세균수 | n=5, c=1, m=10, M=100(분말제품은 n=5, c=2, m=1,000, M=10,000) | 60,000 | |||
대장균군 | n=5, c=0, m=0 | 80,000 | |||
바실루스세레우스 | n=5, c=0, m=100 | 241,000 | |||
열량 및 영양공급용 식품 |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
세균수 | n=5, c=1, m=10, M=100(분말제품은 n=5, c=2, m=1,000, M=10,000) | 60,000 | |||
대장균군 | n=5, c=0, m=0 | 80,000 | |||
바실루스세레우스 | n=5, c=0, m=100 | 241,000 | |||
연하곤란자용 점도조절식품 |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
세균수 | n=5, c=1, m=10, M=100(분말제품은 n=5, c=2, m=1,000, M=10,000) | 60,000 | |||
대장균군 | n=5, c=0, m=0 | 80,000 | |||
바실루스세레우스 | n=5, c=0, m=100 | 241,000 | |||
맞춤형 영양조제식품 | 선천성 대사질환자용 조제식품 |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
세균수 | n=5, c=1, m=10, M=100(분말제품은 n=5, c=2, m=1,000, M=10,000) | 60,000 | |||
대장균군 | n=5, c=0, m=0 | 80,000 | |||
바실루스세레우스 | n=5, c=0, m=100 | 241,000 | |||
영.유아용 특수조제식품 |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
세균수 | n=5, c=1, m=10, M=100(분말제품은 n=5, c=2, m=1,000, M=10,000) | 60,000 | |||
대장균군 | n=5, c=0, m=0 | 80,000 | |||
바실루스세레우스 | n=5, c=0, m=100 | 241,000 | |||
크로노박터(생후 6개월미만 대상 분말제품) | n=5, c=0, m=0/60g (생후 6개월 미만의 영아를 대상으로 하는 영‧유아용특수조제식품 중 분말제품에 한함) | 90,000 | |||
기타환자용 영양조제식품 |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
세균수 | n=5, c=1, m=10, M=100(분말제품은 n=5, c=2, m=1,000, M=10,000) | 60,000 | |||
대장균군 | n=5, c=0, m=0 | 80,000 | |||
바실루스세레우스 | n=5, c=0, m=100 | 241,000 | |||
크로노박터(생후 6개월미만 대상 분말제품) | n=5, c=0, m=0/60g (생후 6개월 미만의 영아를 대상으로 하는 영‧유아용특수조제식품 중 분말제품에 한함) | 90,000 | |||
식단형 식사관리식품 | 당뇨환자용 식단형 식품 |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
세균수(멸균제품) | n=5, c=0, m=0 | 60,000 | |||
대장균군(살균제품)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대장균(살균제품은 제외)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황색포도상구균 | 1g 당 100 이하 | 45,000 | |||
살모넬라 | n=5, c=0, m=0/25g | 76,000 | |||
장염비브리오(살균 또는 멸균처리되지 않은 해산물 함유 제품) | 1g 당 100 이하 (살균 또는 멸균 처리되지 않은 해산물 함유제품에 한함) |
32,000 | |||
장출혈성 대장균 | n=5, c=0, m=0/25g | 168,000 | |||
바실루스세레우스(비가열 섭취 제품) | 1g 당 1,000 이하 | 70,000 | |||
클로스트리디움퍼프린젠스(비가열 섭취제품) | 1g 당 100 이하 | 45,000 | |||
신장질환용 식단형식품 |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
세균수(멸균제품) | n=5, c=0, m=0 | 60,000 | |||
대장균군(살균제품)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대장균(살균제품은 제외)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황색포도상구균 | 1g 당 100 이하 | 45,000 | |||
살모넬라 | n=5, c=0, m=0/25g | 76,000 | |||
장염비브리오(살균 또는 멸균처리되지 않은 해산물 함유 제품) | 1g 당 100 이하 (살균 또는 멸균 처리되지 않은 해산물 함유제품에 한함) |
32,000 | |||
장출혈성 대장균 | n=5, c=0, m=0/25g | 168,000 | |||
바실루스세레우스(비가열 섭취 제품) | 1g 당 1,000 이하 | 70,000 | |||
클로스트리디움퍼프린젠스(비가열 섭취제품) | 1g 당 100 이하 | 45,000 | |||
암환자용 식단형식품 |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
세균수(멸균제품) | n=5, c=0, m=0 | 60,000 | |||
대장균군(살균제품)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대장균(살균제품은 제외)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황색포도상구균 | 1g 당 100 이하 | 45,000 | |||
살모넬라 | n=5, c=0, m=0/25g | 76,000 | |||
장염비브리오(살균 또는 멸균처리되지 않은 해산물 함유 제품) | 1g 당 100 이하 (살균 또는 멸균 처리되지 않은 해산물 함유제품에 한함) |
32,000 | |||
장출혈성 대장균 | n=5, c=0, m=0/25g | 168,000 | |||
바실루스세레우스(비가열 섭취 제품) | 1g 당 1,000 이하 | 70,000 | |||
클로스트리디움퍼프린젠스(비가열 섭취제품) | 1g 당 100 이하 | 45,000 | |||
12. 장류 * 보존료 규격은 '17.7.1 시행 |
한식메주 | 총아플라톡신 | 15.0 이하(단, B1은 10.0 이하이어야 한다)(μg/kg) | 110,000 | |
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|
보존료 | 불검출 | 130,000 | |||
개량메주 | 총아플라톡신 | 15.0 이하(단, B1은 10.0 이하이어야 한다)(μg/kg) | 110,000 | ||
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|
보존료 | 불검출 | 130,000 | |||
한식간장 |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
보존료 | 식품공전 참조 | 75,000 | |||
양조간장 |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
보존료 | 식품공전 참조 | 75,000 | |||
산분해간장 |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
보존료 | 식품공전 참조 | 75,000 | |||
3-MCPD | 식품공전 참조 | 146,000 | |||
효소분해간장 |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
보존료 | 식품공전 참조 | 75,000 | |||
혼합간장 |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
보존료 | 식품공전 참조 | 75,000 | |||
3-MCPD(산분해간장또는 산분해간장 원액을 혼합하여 가공한 제품으로, 원료용 산분해간장의 자가품질검가가 적합한 경우 검사를 생략한다) | 식품공전 참조 | 146,000 | |||
한식된장 |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
보존료 | 식품공전 참조 | 75,000 | |||
된장 |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
보존료 | 식품공전 참조 | 75,000 | |||
고추장 |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
보존료 | 식품공전 참조 | 75,000 | |||
춘장 |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
보존료 | 식품공전 참조 | 75,000 | |||
청국장 |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
보존료 | 식품공전 참조 | 75,000 | |||
혼합장 |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
보존료 | 식품공전 참조 | 75,000 | |||
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기타장류 |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
보존료 | 식품공전 참조 | 75,000 | |||
13. 조미식품 | 식초 | 발효식초 | 총산(초산으로서, w/v%) | 4.0~20.0(다만,감식초는 2.6 이상) | 12,000 |
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|
보존료 | 0.1 이하(파라옥시안식향산으로서) | 75,000 | |||
희석초산 | 총산(초산으로서, w/v%) | 4.0~20.0(다만,감식초는 2.6 이상) | 12,000 | ||
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|
보존료 | 0.1 이하(파라옥시안식향산으로서) | 75,000 | |||
소스류 | 소스 | 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
대장균(비살균제품에 한한다)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세균수(멸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0, m=0 | 60,000 | |||
허용외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|
보존료(g/kg) | 0.2 이하(파라옥시안식향산으로서) | 75,000 | |||
마요네즈 | 보존료(g/kg) | 식품공전 참조 | 75,000 | ||
세균수(멸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0, m=0 | 60,000 | |||
대장균(비살균제품에 한한다)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토마토케첩 | 허용외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
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보존료 | 0.5 이하(소브산으로서) | 75,000 | |||
대장균(비살균제품에 한한다)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세균수(멸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0, m=0 | 60,000 | |||
복합조미식품 | 허용외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
대장균(비살균제품에 한한다) | n=5, c=2, m=0, M=10 | 80,000 | |||
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세균수(멸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0, m=0 | 60,000 | |||
카레(커리) | 카레(커리)분 |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
카레(커리) |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
세균수(멸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0, m=0 | 60,000 | |||
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대장균(살균제품은 제외한다) | n=5, c=1, m=0, M=10 | 60,000 | |||
고춧가루 또는 실고추 | 고춧가루 | 이물 | 10.0 이하(mg/kg), 크기가 2.0 mm 이상인 금속성 이물이 불검출 | 33,000 | |
곰팡이수 | 20 이하(%) | 35,000 | |||
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|
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| 1 g 당 100 이하 | 45,000 | |||
실고추 |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
향신료가공품 | 천연향신료 | 위화물 | 불검출 | 34,000 | |
타르색소(고추냉이 또는 겨자가공품 제외) | 불검출 | 42,000 | |||
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2, m=0 M=10 | 80,000 | |||
대장균(살균 또는 건조제품 제외) | n=5, c=2, m=0 M=10 | 80,000 | |||
곰팡이수(고추 또는 고춧가루 함유제품에 한함) | 10 이하 (%) | 35,000 | |||
향신료조제품 | 타르색소(고추냉이 또는 겨자가공품 제외) | 불검출 | 42,000 | ||
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2, m=0 M=10 | 80,000 | |||
대장균(살균제품 또는 건조제품 제외) | n=5, c=2, m=0 M=10 | 80,000 | |||
곰팡이수(고추 또는 고춧가루 함유제품에 한함) | 10 이하 (%) | 35,000 | |||
식염 | 천일염 |
- | - | - | |
재제소금 (재제조소금) |
납 | 2.0 이하 (mg/kg) | 60,000 | ||
카드뮴 | 0.5 이하 (mg/kg) | 60,000 | |||
태움·용융소금 |
납 | 2.0 이하 (mg/kg) | 60,000 | ||
카드뮴 | 0.5 이하 (mg/kg) | 60,000 | |||
정제소금 |
납 | 2.0 이하 (mg/kg) | 60,000 | ||
카드뮴 | 0.5 이하 (mg/kg) | 60,000 | |||
기타소금 |
납 | 2.0 이하 (mg/kg) | 60,000 | ||
카드뮴 | 0.5 이하 (mg/kg) | 60,000 | |||
가공소금 | 납 | 2.0 이하 (mg/kg) | 60,000 | ||
카드뮴 | 0.5 이하 (mg/kg) | 60,000 | |||
14. 절임류 또는 조림류 | 김치류 | 김치 | 납 | 0.3 이하 (mg/kg) | 60,000 |
카드뮴 | 0.2 이하 (mg/kg) | 60,000 | |||
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|
보존료 | 불검출 | 130,000 | |||
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1, m=0 M=10 | 80,000 | |||
김칫속 | 납 | 0.3 이하 (mg/kg) | 60,000 | ||
카드뮴 | 0.2 이하 (mg/kg) | 60,000 | |||
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|
보존료 | 불검출 | 130,000 | |||
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1, m=0 M=10 | 80,000 | |||
절임류 (보존료 규격은 '17.7.1 시행) |
절임식품 | 세균수(멸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0, m=0 | 60,000 | |
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1, m=0 M=10 | 80,000 | |||
대장균(비살균제품에 한한다) | n=5, c=1, m=0 M=10 | 80,000 | |||
타르색소(밀봉및가열살균 또는 멸균처리한 제품 제외) | 불검출 | 42,000 | |||
보존료 | 식품공전 참조 | 75,000 | |||
당절임 | 세균수(멸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0, m=0 | 60,000 | ||
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1, m=0 M=10 | 80,000 | |||
대장균(비살균제품에 한한다) | n=5, c=1, m=0 M=10 | 80,000 | |||
타르색소(밀봉및가열살균 또는 멸균처리한 제품 제외) | 불검출 | 42,000 | |||
보존료 | 식품공전 참조 | 75,000 | |||
조림류 | 조림류 | 세균수(멸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0, m=0 | 60,000 | |
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1, m=0 M=10 | 80,000 | |||
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|
보존료 | 1.0 이하(소브산으로서 다만, 팥 등 앙금류에 한함) (g/kg) | 75,000 | |||
15. 주류 | 탁주 | 탁주 | 메탄올(mg/mL) | 0.5 이하 | 64,000 |
총산(w/v%) | 0.5 이하(초산으로서) | 12,000 | |||
보존료(g/kg) | 0.2 이하(소브산으로서) | 75,000 | |||
약주 | 약주 | 메탄올(mg/mL) | 0.5 이하 | 64,000 | |
총산(w/v%) | 0.7 이하(초산으로서) | 12,000 | |||
보존료(g/kg) | 0.2 이하(소브산으로서) | 75,000 | |||
청주 | 청주 | 메탄올(mg/mL) | 0.5 이하 | 64,000 | |
총산(w/v%) | 0.3 이하(호박산으로서) | 12,000 | |||
맥주 | 맥주 | 메탄올(mg/mL) | 0.5 이하 | 64,000 | |
과실주 | 과실주 | 메탄올(mg/mL) | 1.0 이하 | 64,000 | |
보존료 | 0.2 이하(소르빈산으로서)(g/kg) | 75,000 | |||
납(포도주에 한함) | 0.2 이하(mg/kg) | 60,000 | |||
소주 | 소주 | 메탄올(mg/mL) | 0.5 이하 | 64,000 | |
알데히드 | 70.0 이하(mg/100mL) | 15,000 | |||
위스키 | 위스키 | 메탄올(mg/mL) | 0.5 이하 | 64,000 | |
알데히드 | 70.0 이하(mg/100mL) | 15,000 | |||
브랜디 | 브랜디 | 메탄올(mg/mL) | 1.0 이하 | 64,000 | |
알데히드 | 70.0 이하(mg/100mL) | 15,000 | |||
일반증류주 | 일반증류주 | 메탄올 | 0.5 이하(다만, 용설란(Agave tequilana)을 주원료로 한 제품에 한하여 1.0 이하)(mg/mL) | 64,000 | |
알데히드 | 70.0 이하(mg/100mL) | 15,000 | |||
리큐르 | 리큐르 | 메탄올(mg/mL) | 1.0 이하 | 64,000 | |
기타 주류 | 기타 주류 | 메탄올(mg/mL) | 1.0 이하 | 64,000 | |
주정 | 주정 | 메탄올 | 0.15 이하(mg/ml) | 81,000 | |
알데히드 | 1 이하(아세트알데히드 mg/100 ml) | ||||
염화물(곡물주정 제외) | 불검출 | 16,000 | |||
16. 농산가공식품류 | 전분류 | 전분 | 회분 | 0.4 이하(%) | 12,000 |
전분가공품 | 이물 | 금속성이물(분쇄공정) : 식품공전에 적합 | 33,000 | ||
적합하여야 한다 | 15,000 | ||||
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1, m=0 M=10 | 80,000 | |||
세균수(멸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0, m=0 | 60,000 | |||
대장균(비살균제품중 더이상 가공,가열조리하지 않고 그대로 섭취하는 제품에 한함) | n=5, c=1, m=0 M=10 | 80,000 | |||
밀가루류 | 밀가루 영양강화 밀가루 |
회분 | 식품공전 참조 | 12,000 | |
땅콩 또는 견과류가공품류 | 땅콩버터 | 총 아플라톡신 | 15.0 이하(B1, B2, G1 및 G2의 합으로서, 단 B1은 10.0 μg/kg 이하이어야 한다)(μg/kg) | 140,000 | |
땅콩 또는 견과류가공품 | 총 아플라톡신 | 15.0 이하(B1, B2, G1 및 G2의 합으로서, 단 B1은 10.0 μg/kg 이하이어야 한다)(μg/kg) | 140,000 | ||
시리얼류 | 시리얼류 | 대장균군 | n=5, c=2, m=0, M=10 | 80,000 | |
찐쌀 | 찐쌀 | 총 아플라톡신 | 15.0 이하(B1, B2, G1 및 G2의 합으로서, 단 B1은 10.0 μg/kg 이하이어야 한다)(μg/kg) | 140,000 | |
이산화황 | 0.030 미만(g/kg) | 36,000 | |||
납 | 0.2 이하(mg/kg) | 60,000 | |||
카드뮴 | 0.2 이하(mg/kg) | 60,000 | |||
효소식품 | 효소식품 | 조단백질 | 10.0 이하(%) | 30,000 | |
α-아밀라아제 | 표시량 이상이어야 한다 | 문의 | |||
프로테아제 | 표시량 이상이어야 한다 | 문의 | |||
대장균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기타농산가공품류 | 과·채가공품 | 대장균(비살균 과・채가공품) | n=5, c=1, m=0, M=10(비살균 과・채가공품과 더 이상 가공, 가열조리를 하지 않고 그대로 섭취하는 비살균제품에 한한다.) | 80,000 | |
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한한다)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세균수(멸균제품에 한한다) | n=5, c=0, m=0 | 60,000 | |||
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|
곡류가공품 두류가공품 서류가공품 기타 농산가공품 |
이물 | 금속성이물(분쇄공정) : 식품공전에 적합 | 33,000 | ||
적합하여야 한다 | 15,000 | ||||
산가(참깨분, 대두분, 유탕·유처리식품) | 4.0 이하(참깨분, 대두분에 한함) | 29,000 | |||
5.0 이하(유탕·유처리식품에 한함) | |||||
과산화물가(유탕·유처리식품) | 60 이하(유탕·유처리식품에 한함) | 18,000 | |||
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세균수(멸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0, m=0 | 60,000 | |||
대장균(더 이상 가공,조리하지 않고 그대로 섭취하는 비살균제품)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17. 식육가공품 및 포장육 | 식육함유가공품 | 식육함유가공품 | 아질산이온 | 0.07 미만(g/kg) | 36,000 |
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|
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2, m=10, M=100 | 80,000 | |||
살모넬라(살균제품에 해당된다) | n=5, c=0, m=0/25g | 76,000 | |||
보존료 | 2.0 이하(소브산으로서) (g/kg) | 75,000 | |||
벤조피렌(훈제제품에 한함) | 식품공전 참조 | 150,000 | |||
세균수(멸균제품에 한한다) | n=5, c=0, m=0 | 60,000 | |||
18. 알가공품 | 알함유가공품 | 알함유가공품 | 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1, m=10, M=100 | 80,000 |
세균수 | n=5, c=0, m=0(멸균제품에 한함) | 60,000 | |||
n=5, c=1, m=10,000, M=50,000 (살균제품에한함) |
|||||
살모넬라 | n=5, c=0, m=0/25g | 76,000 | |||
19.유가공품 | 유함유가공품 | 유함유가공품 | 세균수(멸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0, m=0 | 60,000 |
대장균(비살균제품 중 그대로 섭취하는 제품)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살모넬라 | n=5, c=0, m=0/25g | 76,000 | |||
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| n=5, c=0, m=0/25g | 88,000 | |||
황색포도상구균 | n=5, c=0, m=0/25g | 116,000 | |||
20. 수산가공식품류 | 어육가공품류 | 어육살 |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
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세균수(멸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0, m=0 | 60,000 | |||
보존료 | 2.0 이하(소브산으로서) (g/kg) | 75,000 | |||
연육 |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
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세균수(멸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0, m=0 | 60,000 | |||
보존료 | 2.0 이하(소브산으로서) (g/kg) | 75,000 | |||
어육반제품 |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
보존료 | 2.0 이하(소브산으로서) (g/kg) | 75,000 | |||
어묵 |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
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세균수(멸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0, m=0 | 60,000 | |||
보존료 | 2.0 이하(소브산으로서) (g/kg) | 75,000 | |||
어육소시지 | 아질산이온 | 0.05 미만(g/kg) | 36,000 | ||
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세균수(멸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0, m=0 | 60,000 | |||
보존료 | 2.0 이하(소브산으로서) (g/kg) | 75,000 | |||
기타 어육가공품 |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
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세균수(멸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0, m=0 | 60,000 | |||
보존료 | 2.0 이하(소브산으로서) (g/kg) | 75,000 | |||
젓갈류 | 젓갈 | 대장균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
타르색소(명란젓 제외) | 불검출(다만, 명란젓은 제외한다) | 42,000 | |||
보존료(식염함량이 8%이하의 제품에 한함) | 1.0 이하(소브산으로서)(g/kg) | 75,000 | |||
양념젓갈 | 대장균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
타르색소(명란젓 제외) | 불검출(다만, 명란젓은 제외한다) | 42,000 | |||
보존료(식염함량이 8%이하의 제품에 한함) | 1.0 이하(소브산으로서)(g/kg) | 75,000 | |||
액젓 | 총질소(%) | 1.0 이상(다만, 곤쟁이 액젓은 0.8 이상) | 30,000 | ||
대장균군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타르색소 | 불검출(다만, 명란젓은 제외한다) | 42,000 | |||
보존료(식염함량이 8%이하의 제품에 한함) | 1.0 이하(소브산으로서)(g/kg) | 75,000 | |||
조미액젓 | 총질소(%) | 0.5 이상 | 30,000 | ||
대장균군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타르색소 | 불검출(다만, 명란젓은 제외한다) | 42,000 | |||
보존료(식염함량이 8%이하의 제품에 한함) | 1.0 이하(소브산으로서)(g/kg) | 75,000 | |||
건포류 | 조미건어포류 | 이산화황 | 0.030 미만(g/kg) | 36,000 | |
대장균 | n=5, c=2, m=0 M=10 | 80,000 | |||
황색포도상구균 | n=5, c=1, m=10 M=100 | 158,000 | |||
건어포류 | 이산화황 | 0.030 미만(g/kg) | 36,000 | ||
벤조피렌(훈제제품에 한함) | 식품공전 참조 | 150,000 | |||
기타 건포류 | 이산화황 | 0.030 미만(g/kg) | 36,000 | ||
벤조피렌(훈제제품에 한함) | 식품공전 참조 | 150,000 | |||
조미김 | 조미김 | 산가(유처리한 김에 한함) | 4.0 이하 | 29,000 | |
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|
한천 | 한천 | 열탕불용해잔사물 | 4.0 이하(%) | 21,000 | |
붕산 | 0.10 이하(%) | 61,000 | |||
기타 수산물가공품 | 기타 수산물가공품 | 이물 | 금속성이물(분쇄공정) : 식품공전에 적합 | 33,000 | |
적합하여야 한다 | 15,000 | ||||
대장균(비살균제품 중 더 이상 가공, 가열조리하지 않고섭취하는 제품에 한한다)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1, m=0 M=10 | 80,000 | |||
세균수(멸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0, m=0 | 60,000 | |||
20. 동물성가공식품류 | 기타식육 또는기타알제품 | 기타식육 또는 기타알 기타 동물성가공식품 |
휘발성염기질소(기타식육 100%제품에 한함) | 20 이하(mg%) | 30,000 |
장출혈성 대장균(원료용 분쇄육에 한함) | n=5, c=0, m=0/25g | 168,000 | |||
보존료(식육함유제품에 한함) | 2.0 이하(소브산으로서) (g/kg) | 75,000 | |||
벤조피렌(훈제제품에 한함) | 식품공전 참조 | 150,000 | |||
곤충가공식품 | 산가(식용번데기 가공품에 한함) | 5.0 이하 | 29,000 | ||
과산화물가(식용번데기 가공품에 한함) | 60 이하 | 18,000 | |||
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1, m=0 M=10 | 80,000 | |||
대장균(비살균제품 중 더 이상 가공, 가열조리하지 않고섭취하는 제품에 한한다)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|
세균수(멸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0, m=0 | 60,000 | |||
자라가공식품 | 자라분말 자라분말제품 |
조단백질 | 식품공전 참조 | 30,000 | |
히드록시프롤린 | 식품공전 참조 | 120,000 | |||
대장균군 | n=5, c=2, m=0 M=10 | 80,000 | |||
자라유제품 | 산가 | 1.0 이하 | 29,000 | ||
과산화물가 | 15.0 이하 | 18,000 | |||
팔밑올레산 | 8.0~18.0 (%) | 5,000 | |||
아라키돈산+에이코사펜타엔산 | 2.0~8.0 (%) | 155,000 | |||
대장균군 | n=5, c=2, m=0 M=10 | 80,000 | |||
추출가공식품 | 추출가공식품 | 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
세균수(그대로 섭취하는 액상제품에 한함) | n=5, c=1, m=100, M=1,000 | 60,000 | |||
대장균군(살균제품 또는 그대로 섭취하는 액상제품에한함) | n=5, c=1, m=0 M=10 | 80,000 | |||
대장균(살균제품 또는 그대로 섭취하는 액상제품 제외) | n=5, c=1, m=0 M=10 | 80,000 | |||
21. 벌꿀 및 화분가공품 | 벌꿀류 | 벌집꿀 | - | - | - |
벌꿀 | 자당 | 7.0 이하(%) | 60,000 | ||
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|
사카린나트륨 | 불검출 | 49,000 | |||
사양벌집꿀 | - | - | - | ||
사양벌꿀 | 자당 | 7.0 이하(%) | 60,000 | ||
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|
사카린나트륨 | 불검출 | 49,000 | |||
로얄젤리류 | 로얄젤리 | 10-히드록시-2-데센산 | 1.6 이상(건조제품은 4.0 이상)(%) | 90,000 | |
조단백질 | 11.0~14.5(건조제품은 30.0~41.0)(%) | 30,000 | |||
대장균 | n=5, c=1, m=0 M=10 | 80,000 | |||
로얄젤리제품 | 10-히드록시-4-데센산 | 0.56 이상(%) | 90,000 | ||
대장균 | n=5, c=1, m=0 M=10 | 80,000 | |||
화분가공식품 | 가공화분 화분함유제품 |
조단백질 | 식품공전 참조 | 30,000 | |
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|
대장균 | n=5, c=1, m=0 M=10 | 80,000 | |||
22. 즉석식품류 | 생식류 | 생식제품 생식함유제품 |
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| 1 g 당 100 이하 | 45,000 |
바실루스 세레우스 | 1 g 당 1,000 이하 | 70,000 | |||
대장균 | n=5, c=2, m=0 M=10 | 80,000 | |||
즉석섭취·편의식품류 | 즉석섭취식품 | 대장균 | n=5, c=1, m=0 M=10 | 80,000 | |
황색포도상구균 | n=5, c=1, m=100, M=1000 | 158,000 | |||
살모넬라 | n=5, c=0, m=0/25g | 76,000 | |||
장염비브리오(살균 또는 멸균처리되지 않은 해산물 함유 제품에 한함) | n=5, c=1, m=100, M=1,000 (살균 또는 멸균처리 되지 않은 해산물 함유 제품에 한한다.) |
112,000 | |||
바실루스 세레우스 | 1 g 당 1,000 이하 | 70,000 | |||
세균수(멸균제품에 한한다) | n=5, c=0, m=0 | 60,000 | |||
리스테리아 모노싸이토제네스 | n=5, c=0, m=0/25g | 88,000 | |||
신선편의식품 | 대장균 | n=5, c=1, m=0 M=10 | 80,000 | ||
황색포도상구균 | n=5, c=1, m=100, M=1000 | 158,000 | |||
살모넬라 | n=5, c=0, m=0/25g | 76,000 | |||
장염비브리오(살균 또는 멸균처리되지 않은 해산물 함유 제품에 한함) | n=5, c=1, m=100, M=1,000 (살균 또는 멸균처리 되지 않은 해산물 함유 제품에 한한다.) |
112,000 | |||
세균수(멸균제품에 한한다) | n=5, c=0, m=0 | 60,000 | |||
바실루스 세레우스 | 1 g 당 1,000 이하 | 70,000 | |||
즉석조리식품 | 세균수(멸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0, m=0 | 60,000 | ||
황색포도상구균 | n=5, c=1, m=100, M=1000 | 158,000 | |||
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한한다) | n=5, c=1, m=0 M=10 | 80,000 | |||
대장균(살균제품은 제외한다) | n=5, c=1, m=0 M=10 | 80,000 | |||
살모넬라 | n=5, c=0, m=0/25g | 76,000 | |||
간편조리세트 | 대장균 | n=5, c=1, m=0, M=10 | 80,000 | ||
황색포도상구균 | n=5, c=1, m=100, M=1000 | 158,000 | |||
살모넬라 | n=5, c=0, m=0/25 g | 76,000 | |||
장염비브리오(살균 또는 멸균처리되지 않은 해산물 함유 제품에 한함) | n=5, c=1, m=100, M=1,000 (살균 또는 멸균처리 되지 않은 해산물 함유 제품에 한한다.) |
112,000 | |||
장출혈성대장균(가열조리하지 않고 섭취하는 농축수산물 함유제품) | n=5, c=0, m=0/25 g | 168,000 | |||
만두류 | 만두 | 사카린나트륨 | 불검출 | 49,000 | |
만두피 | 보존료 | 불검출 | 130,000 | ||
23. 기타식품류 | 효모식품 | 효모식품 | 대장균 | n=5, c=1, m=0 M=10 | 80,000 |
기타가공품 | 기타가공품 | 이물 | 금속성이물(분쇄공정) : 식품공전에 적합 | 33,000 | |
적합하여야 한다 | 15,000 | ||||
산가(유탕·유처리식품에 한함) | 5.0 이하 | 29,000 | |||
과산화물가(유탕·유처리식품에 한함) | 60 이하 | 18,000 | |||
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1, m=0 M=10 | 80,000 | |||
대장균(비살균제품중 더 이상 가공,가열조리 하지 않고 그대로 섭취하는 제품에 한한다) | n=5, c=1, m=0 M=10 | 80,000 | |||
세균수(멸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0, m=0 | 60,000 | |||
장기보존식품 | 통병조림식품 | 세균(5개 실험) | 음성 | 67,000 | |
레토르트식품 | 세균(5개로 실험) | 음성 | 67,000 | ||
타르색소 | 불검출 | 42,000 | |||
냉동식품(비가열) 가열하지 않고 섭취하는 냉동식품 |
세균수(발효제품, 발효제품 첨가 또는 유산균 첨가제품 제외) | n=5, c=2, m=100,000, M=500,000 | 60,000 | ||
대장균(살균제품 제외) | n=5, c=2, m=0 M=10 | 80,000 | |||
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해당) | n=5, c=2, m=10 M=100 | 80,000 | |||
냉동식품 가열하여 섭취하는 냉동식품 |
세균수(발효제품, 발효제품 첨가 또는 유산균 첨가제품 제외) | n=5, c=2, m=1,000.000, M=5,000,000 | 60,000 | ||
살균제품은 n=5, c=2, m=100,000, M=500,000 | |||||
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해당) | n=5, c=2, m=10 M=100 | 80,000 | |||
대장균(살균제품 제외) | n=5, c=2, m=0 M=10 | 80,000 |
(별표2)
구분 | 검사항목 | 규격 | 금액 |
---|---|---|---|
분말, 가루, 환제품 (원료를 금속재질의 분쇄기로 하는 경우) |
금속성이물 (쇳가루) |
10.0 이하(mg/kg), 크기가 2.0 mm 이상인 금속성 이물이 불검출 |
33,000 |
(별표3)
구분 | 검사항목 | 규격 | 금액 | |
---|---|---|---|---|
영·유아를 섭취대상으로 표시하여 판매하는 식품 | 1.과자류, 빵류 또는 떡류~22. 즉석식품류에 해당하는 식품 중 영아 또는 유아를 섭취대상으로 표시하여 판매하는 식품 | 세균수(멸균제품 또는 6개월미만 영아를 대상으로 하는 분말제품, 그 외 식품 중 분말제품 또는 유산균첨가제품, 치즈류를 제외한 식품에 한함) | 식품공전 참조 | 60,000 |
대장균군(멸균제품 제외) | n=5, c=0, m=0 | 80,000 | ||
바실루스 세레우스(멸균제품 제외) | n=5, c=0, m=100 | 241,000 | ||
크로노박터(영아용제품에 한함, 멸균제품 제외) | n=5, c=0, m=0/60g | 90,000 | ||
고령자를 섭취대상으로 표시하여 판매하는 식품 | 1.과자류, 빵류 또는 떡류~24. 기타식품류(다만, 기타가공품은 제외)에 해당하는 식품 중 고령자를 섭취대상으로 표시하여 판매하는 식품 | 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0, m=0 | 80,000 |
대장균(비살균제품에 한함) | n=5, c=0, m=0 | 80,000 | ||
경도(경도조절제품에 한함) | 500,000 N/m2 이하(경도조절제품에 한함) | 문의 | ||
점도(경도 20,000 N/m3 이하의 점도조절 액상제품에 한함) | 1,500 mpa·s 이상(경도 20,000 N/m2 이하의 점도조절 액상제품에 한함) | 문의 |
자가품질(축산물) 검사항목
분 류 | 유 형 | 검 사 항 목 (고시 제2021-102호(2021.12.2.개정)) |
|
---|---|---|---|
1-1. 아이스크림류 | 아이스크림 | 세균수(유산균 및 발효유 함유제품 제외), 대장균군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| |
아이스밀크 | |||
저지방아이스크림 | 세균수(유산균 및 발효유 함유제품 제외), 대장균군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| ||
샤베트 | 세균수(유산균 및 발효유 함유제품 제외), 대장균군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| ||
비유지방아이스크림 | |||
1-2. 아이스크림믹스류 | 아이스크림믹스 | 세균수(유산균 또는 발효유 함유제품 제외), 대장균군(멸균제품 제외)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| |
아이스밀크믹스 | |||
저지방아이스크림믹스 | 세균수(유산균 또는 발효유 함유제품 제외), 대장균군(멸균제품 제외)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| ||
샤베트믹스 | 세균수(유산균 또는 발효유 함유제품 제외), 대장균군(멸균제품 제외)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| ||
비유지방아이스크림믹스 | |||
2-1. 동물성유지류 | 식용우지 | 산가. 비누화가, 요오드가, 산화방지제 | |
식용돈지 | |||
원료우지 | 산가, 산화방지제 | ||
원료돈지 | |||
3-1. 조제유류 | 영아용 조제유 | 매월1회이상 | 수분(액상제품 제외), 사카린나트륨, 타르색소, 탄화물(분말제품에 한함) |
제품생산 단위별 |
세균수(유산균 첨가제품 제외), 대장균군(멸균제품 제외), 크로노박터(멸균제품 제외), 바실러스 세레우스(멸균제품 제외)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| ||
성장기용 조제유 | 매월1회이상 | 수분(액상제품 제외), 사카린나트륨, 타르색소, 탄화물(분말제품에 한함) | |
제품생산 단위별 |
세균수(유산균 첨가제품 제외), 대장균군(멸균제품 제외), 바실러스 세레우스(멸균제품 제외)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| ||
4-1. 햄류 | 햄, 생햄, 프레스햄 | 비살균제품 | 아질산이온, 타르색소, 보존료 |
살·멸균제품 및 비살균제품 중 그대로 섭취하는 제품 | 아질산이온, 타르색소, 보존료, 세균수(멸균제품에 한함), 대장균(생햄에 한함), 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한함)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| ||
4-2. 소시지류 | 소시지, 발효소시지, 혼합소시지 |
비살균제품 | 아질산이온, 보존료, 장출혈성대장균(소시지 중 식육을 분쇄하여 케이싱에 충전 후 냉장·냉동한 제품에 한함) |
살·멸균제품 및 비살균제품 중 그대로 섭취하는 제품 | 아질산이온, 보존료, 세균수(멸균제품에 한함), 대장균(발효소시지에 한함), 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한함), 장출혈성 대장균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| ||
4-3. 베이컨류 | 베이컨류 | 비살균제품 | 아질산이온, 타르색소, 보존료 |
살·멸균제품 및 비살균제품 중 그대로 섭취하는 제품 | 아질산이온, 타르색소, 보존료, 세균수(멸균제품에 한함), 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한함)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| ||
4-4. 건조저장육류 | 건조저장육류 | 비살균제품 | 아질산이온, 타르색소, 보존료 |
살·멸균제품 및 비살균제품 중 그대로 섭취하는 제품 | 아질산이온, 타르색소, 보존료, 세균수(멸균제품에 한함), 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한함)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| ||
4-5. 양념육류 | 양념육, 갈비가공품 |
비살균제품 | 아질산이온, 타르색소, 보존료 |
살·멸균제품 및 비살균제품 중 그대로 섭취하는 제품 | 아질산이온, 타르색소, 보존료, 세균수(멸균제품에 한함), 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한함)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| ||
분쇄가공육제품 | 비살균제품 | 아질산이온, 타르색소, 보존료, 장출혈성대장균 | |
살·멸균제품 및 비살균제품 중 그대로 섭취하는 제품 | 아질산이온, 타르색소, 보존료, 세균수(멸균제품에 한함), 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한함)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, 장출혈성대장균 | ||
천연케이싱 | 비살균제품 | 타르색소, 보존료 | |
살·멸균제품 및 비살균제품 중 그대로 섭취하는 제품 | 타르색소, 보존료, 세균수(멸균제품에 한함), 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한함)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| ||
4-6. 식육추출가공품 | 식육추출가공품 | 비살균제품 (그대로 섭취하는 제품) |
타르색소, 세균수(액상제품에 한함), 대장균군(액상제품에 한함), 대장균(액상제품 제외).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|
비살균 제품 (그 외 제품) |
타르색소, 대장균 | ||
살·멸균제품 (그대로 섭취하는 제품) |
타르색소, 세균수(액상제품에 한함), 대장균군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| ||
살·멸균제품 (그 외 제품) |
타르색소, 대장균군 | ||
5-1. 알가공품 | 전란액, 난황액, 난백액, 전란분, 난황분, 난백분, 알가열제품, 피단 |
비살균제품 | 세균수, 대장균군, 살모넬라 |
살·멸균제품 및 비살균제품 중 그대로 섭취하는 제품 | 세균수, 대장균군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| ||
6-1. 우유류 | 우유 | 산도, 세균수, 대장균군(멸균제품 제외)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| |
환원유 | |||
6-2. 가공유류 | 강화우유 | 산도, 세균수(유산균 첨가제품 제외), 대장균군(멸균제품 제외)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| |
유산균첨가우유 | 대장균군(멸균제품 제외)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| ||
유당분해우유 | 산도, 세균수(유산균 첨가제품 제외), 대장균군(멸균제품 제외)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| ||
가공유 | 세균수(유산균 첨가제품 제외), 대장균군(멸균제품 제외)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| ||
6-3. 산양유 | 산양유 | 산도, 세균수(유산균 첨가제품 제외), 대장균군(멸균제품 제외)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| |
6-4. 발효유류 | 발효유 | 대장균군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| |
농후발효유 | |||
크림발효유 | |||
농후크림발효유 | |||
발효버터유 | |||
발효유분말 | 대장균군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| ||
6-5. 버터유 | 버터유 | 세균수, 대장균군(멸균제품 제외)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| |
6-6. 농축유류 | 농축우유 | 산도, 세균수, 대장균군(멸균제품 제외)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| |
탈지농축우유 | 세균수, 대장균군(멸균제품 제외)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| ||
가당연유 | 세균수, 대장균군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| ||
가당탈지연유 | |||
가공연유 | |||
6-7. 유크림류 | 유크림 | 산도, 세균수, 대장균군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| |
가공유크림 | 세균수, 대장균군(멸균제품 제외)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| ||
6-8. 버터류 | 버터 | 산가(발효제품 제외), 타르색소, 대장균군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, 산화방지제, 보존료 | |
가공버터 | |||
버터오일 | 산가, 타르색소, 대장균군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, 산화방지제, 보존료 | ||
6-9. 치즈류 | 자연치즈 | 대장균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, 황색포도상구균, 장출혈성대장균(비살균 원유로 만든 치즈에 한함),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리젠스(비살균 원유로 만든 치즈에 한함), 보존료 | |
가공치즈 | 대장균군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, 황색포도상구균, 장출혈성대장균(비살균 원유로 만든 치즈에 한함),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리젠스(비살균 원유로 만든 치즈에 한함), 보존료 | ||
6-10. 분유류 | 전지분유 | 수분, 세균수, 대장균군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| |
탈지분유 | |||
가당분유 | 수분, 세균수, 대장균군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| ||
혼합분유 | 수분, 세균수, 대장균군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| ||
6-11. 유청류 | 유청 | 세균수, 대장균군(멸균제품 제외)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| |
농축유청 | |||
유청단백분말 | 세균수, 대장균군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| ||
6-12. 유당 | 유당 | 수분, 세균수, 대장균군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| |
6-13. 유단백가수분해식품 | 유단백가수분해식품 | 수분, 세균수, 대장균군, 살모넬라,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| |
7. 포장육 | 장출혈성 대장균(분쇄에 한함) |
[별표 1의2] 식용란수집판매업 영업자의 식용란 검사 항목(제5조 관련)
구 분 | 검 사 항 목 | ||
---|---|---|---|
항생제 | 퀴놀론계(엔로프록사신, 시프로플록사신), 설파제 | ||
농약 | 피프로닐, 비펜트린, 플루페녹수론, 에톡사졸, 피리다벤 |
[별표 2] 영 ‧ 유아 또는 고령자를 섭취대상으로 표시하여 판매하는 식품의 검사항목(제5조제2항 관련)
구 분 | 검 사 항 목 | ||
---|---|---|---|
영 ‧ 유아를 섭취대상으로 표시하여 판매하는 식품 | 세균수(멸균제품 또는 6개월미만 영아를 대상으로 하는 분말제품, 그 외 식품 중 분말제품 또는 유산균첨가제품, 치즈류를 제외한 식품에 한함), 대장균군(멸균제품 제외), 바실루스 세레우스(멸균제품 제외), 크로노박터(영아용제품에 한하며, 멸균제품은 제외) | ||
고령자를 섭취대상으로 표시하여 판매하는 식품 | 대장균군(살균제품에 한함), 대장균(비살균제품에 한함), 경도(경도조절식품에 한함), 점도(경도 20,000 N/m2 이하의 점도조절 액상제품에 한함) |
[별표 3] 통 ‧ 병조림 및 레토르트 식품 검사항목
구 분 | 검 사 항 목 | ||
---|---|---|---|
통ㆍ병조림식품 | 세균, 주석(알루미늄 캔을 제외한 캔제품에 한함) | ||
레토르트식품 | 세균, 타르색소 |